본문 바로가기
관심종목

AACR(미국 암 연구학회) 2023 참가기업 및 관련주

by 공감경제 2023. 3. 20.
반응형

오는 4월 14일 ~ 19일까지 미국 플로리다주 올랜도에서 개최되는 AACR (미국 암 연구학회) 2023에서 국내 제약, 바이오, 헬스케어 기업들이 성과를 발표합니다.

AACR 2023 참가기업은 한미약품, 에이비온, 메드팩토, 바이젠셀, 앱클론, 에스티큐브, 유틸렉스, 지놈앤컴퍼니, 티움바이오, 압타머사이언스, 브릿지바이오테라퓨틱스, 젠큐릭스, 싸이토젠, 큐리언트, 루닛, 나이벡 등입니다.

비상장사로는 애스톤사이언스, 큐로셀, 파로스아이바이오, 테라펙스 등이 있습니다.

 

 

1. AACR 소개

AACR-2023

AACR은 American Association for Cancer Research의 약자로 미국임상종약학회(ASCO)와 유럽종양학회(ESMO)와 함께 세계 3대 암 관련 학술 행사로 손꼽히며 미국 암 연구학회를 뜻하며 매년 120 여개국의 제약, 바이오, 헬스케어 등의 전문가들이 참여해 새로운 암 치료 방법과 기술을 공유하는 곳이며 국내 기업은 이곳에서 기술력을 입증하고 파이프라인을 늘리며 기술 수출 등 파트너십을 위해 매년 준비하며 참가합니다.

 

AACR은 미국에서 매년 개최되고 있으며 올해 미국 플로리다주 올랜도에서 4월 14일 ~ 4월 19일까지 개최됩니다.

 

 

 

2. AACR 참가기업

한미약품

한미약품은 이번 AACR에서 주목할 기업으로 손꼽혔으며 국내 업체 중 가장 많은 7건의 연구 결과를 발표할 예정입니다.

면역항암 혁신신약으로 개발 중인 랩스 IL-2 아날로그 등 연구 과제를 포스터로 공개합니다.

해당 약물은 항암 주기당 1회 피하 투여가 가능한 지속형 약물로 기존 IL-2 제제와 차별화된 수용체 결합력을 기반으로 항암 효능을 높일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에이비온

에이비온은 이번 AACR에서 주목할 기업으로 손꼽혔으며 ABN501 등 항암제 관련 5건의 연구 결과를 발표할 예정입니다.

뇌 전이와 KRAS 변이 등 비소세포폐암 관련 연구를 진행 중이며 ABN501은 c-MET 돌연변이 비소세포폐암 치료제 후보물질이고 ABN401의 뇌 전이 관련 비임상 연구 결과를 공개합니다.

또한 항체에 인터페론-베타를 결합한 ABN202의 항암 효능을 공유합니다.

 

 

메드팩토

메드팩토는 췌장암 적응증의 백토서팁과 Onivyde 병용 임상 전임상 결과를 발표할 예정입니다.

지난해 9월 AACR  Special Conference에서 백토서팁과 Folfox 병용 요법에 대한 IIT 데이터를 공개한 바 있습니다.

 

 

바이젠셀

바이젠셀은 신규 CD30-유래 공동 자극 신호전달 도메인을 이용한 혈액암 및 고형암 표적 car-t 세포의 항종양 효능평가에 대한 시험관 내 및 동물실험 연구 결과에서 기존 대비 우수함을 증명하는 데이터를 발표할 예정입니다.

 

 

앱클론

앱클론은 키메릭항원수용체 T세포 치료제 후보물질 AT101에 대한 비임상 및 임상 1상 결과 일부를 발표할 예정입니다.

AT101에 대한 AACR 발표는 최초로 시판 허가된 스위스 노바티스의 킴리아(Kymriah)를 개발했던 마크로 루엘라 미국 펜실베니아의대 림프종 사이언스 센터장이 직접 진행할 계획이며 AT101의 임상 연구 성과와 기존 CAR-T 치료제 차별점 등이 포함될 예정입니다.

AT101은 독자 개발한 h1218 인간화 항체를 사용해 CD19 질환 단백질의 새로운 부위에 작용하는 것이 특징이며 다양한 혈액암 치료에 사용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에스티큐브

에스티큐브는 넬마스토바트(Nelmastobart)로 치료받은 환자들의 임상 1상 약 동학 및 면역 형질 분석과 항 BTN1A1 진단용 항체 개발에 대해 발표할 예정입니다.

 

 

유틸렉스

유틸렉스는 키메릭항원수용체 T세포 치료제 EU307에 대해 발표할 예정입니다.

EU307은 GPC3 양성 고형암을 표적하는 CAR-T 치료제로 GPC3는 간암 환자의 70~80%에서 과발현됩니다.

사이토카인(IL-18) 분비를 통해 CAR-T 세포의 체내 생존력 및 암세포 공격력을 향상시키는 4세대 CAR-T 치료제가 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지놈앤컴퍼니

지놈앤컴퍼니는 면역항암 신약후보물질인 GENA-104에 대한 전임상 결과 3건을 발표할 예정입니다.

바이오마커인 CNTN4의 발현에 따른 GENA-104의 항암 효능 연구 결과와 관련 메커니즘 연구 결과, CNTN4와 상호 결합하는 면역세포 내 APP 및 이를 표적으로 하는 면역 관문 억제제 발굴에 관해 발표하며 올 상반기 내 임상 1상 IND 신청을 준비 중입니다.

 

 

티움바이오

티움바이오는 면역항암제 후보물질인 TU2218 전임상 결과 2건을 발표할 예정입니다.

TU2218은 TGF-β와 VEGF를 동시에 저해하는 혁신 의약품 면역항암제입니다.

PD-1항체 저해제와 CTLA-4항체 저해제 등 면역 관문 억제제와 병용 투여 시 임상의 미충족 수요를 효과적으로 해소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압타머사이언스

압타머사이언스는 면역항암제 CD25-ApDC 연구결과를 발표할 예정입니다.

CD25-ApDC는 인간 CD25를 표적으로 하는 압타머-약물 전달체의 조절 T 세포를 제거 및 억제합니다.

DNA와 RNA로 구성되어 표적 물질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단일 가닥 핵산 물질로 멀티 부위 결합이 가능하고 체내 면역 거부반응이 없어 다양하게 사용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브릿지바이오테라퓨틱스

브릿지바이오테라퓨틱스는  4세대 폐암 표적치료제 후보물질 BBT-207의 전임상 연구 결과를 발표할 예정입니다.

BBT-207의 항종양 효력을 비롯해 뇌전이 억제 가능성에 대한 데이터를 확인했으며 작년 AACR에서 BBT-207의 전임상 데이터를 발표했고 세포주 및 동물실험을 기반으로 탐색한 약물의 약동학적 특성과 C797S 양성 이중 돌연변이 및 다양한 내성 돌연변이에 대한 저해능을 공개한 바 있고 올해는 추가 동물실험 결과를 토대로 C797S 양성 돌연변이에 대한 표적 치료 가능성을 살피는 항종양 효력, 뇌 전이 동물 모델에서의 생존율 개선 및 뇌 전이 억제능력 관련 데이터를 발표합니다.

브릿지바이오테라퓨닉스는 올해 상반기 FDA에 BBT-207 임상을 신청할 계획입니다.

 

 

젠큐릭스

젠큐릭스는 대장암 조기진단 검사 콜로이디엑스(COLO eDX)의 연구 결과를 발표할 예정입니다.

콜로이디엑스를 활용한 대장암 수술 상태 및 미세잔존암 여부와 재발 상관성에 대한 결과입니다.

 

 

싸이토젠

싸이토젠은 머신러닝 기반의 순환 종양세포(CTC) 정밀 분석에 관한 연구 결과를 발표할 예정입니다.

CTC는 원발암에서 떨어져 나와 혈액을 순환하는 암세포로 살아있는 상태로 분리하는 것이 어렵습니다.

싸이토젠은 고 밀도다공성칩을 활용한 액체 생검 플랫폼으로 CTC를 살아있는 상태로 분리하는 기술을 보유 중이며 이번 연구를 통해 CTC를 기반으로 하는 진단의 속도와 정확도가 향상될 것이라고 예상하고 있습니다.

 

 

큐리언트

큐리언트는 면역항암제 Q702의 임상 1상의 항암 면역 활성화 결과를 발표할 예정입니다.

Q702 투여 후 인터페론 감마 수치가 증가한다는 결과를 발표할 예정이며 인터페론 감마는 면역 관문 억제제의 반응성을 높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또한 CDK7을 선택적으로 저해하는 항암제 Q901에 대한 다양한 병용 요법 평과 결과도 공개할 예정입니다.

 

 

루닛

루닛은 인공지능(AI) 바이오마커 및 AI 병리 분석 설루션을 적용한 결과를 발표할 예정입니다.

AI 바이오마커 플랫폼 루닛 스포크를 활용한 비소세포폐암 KRAS G12C 돌연변이 예측 모델의 성능 검증, AI 기반 범용 면역조직화학염색 분석기의 성능 평가, 진행성, 전이성 담도암에서 루닛스포크 IO의 면역항암제 치료 효과 예측 성능 검증 등입니다.

또한 다양한 암종의 종양, 기질 경계에서의 종양 침윤 림프구 정량 분석, 난소 상피암에서의 루닛 스포크 면역 표연형 분석 결과 등도 발표할 예정입니다.

 

 

나이벡

나이벡은 K-RAS 변이 항암치료제에 대한 연구 결과를 발표할 예정입니다.

NIPEP-TPP-KRAS에 대한 연구 성과입니다.

 

 

 

 

반응형

댓글